본문 바로가기
키 성장 영양&식단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로 보는 초·중·고 평균 키, 우리 아이는 몇 cm일까요?

by 익명이맘 2025. 6. 2.
반응형

2025년 현재 사용되는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를 기준으로,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연령별 평균 키를 정리해드립니다. 우리 아이 키, 평균과 얼마나 차이 날까요?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 출처: 질병관리청,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친구보다 작아 보여서 걱정돼요...”
“중학생인데 성장이 멈춘 것 같아 불안해요.”
“고등학생이 되면 키가 더 안 크는 걸까요?”

이런 고민,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아이 키는 단순히 ‘작다 vs 크다’로 판단할 수 없어요.
공식적인 성장도표를 기준으로 아이의 성장 속도와 추이를 함께 보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오늘은 2025년 현재 사용되는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의 평균 키를 연령별로 정리해드릴게요.


📌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란?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는
질병관리청과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가 공동으로 제정한 국가표준입니다.

  • 우리나라 아이들의 평균 신장, 체중, BMI 등을
    백분위(%) 기준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 2025년 현재 기준으로는 2017년 개정판 성장도표가 가장 최신입니다.

✅ 연령별 평균 키 정리표 (2025년 기준)

연령 남아 평균 키(cm) 여아 평균 키(cm)
8세 127.3 126.6
9세 133.0 132.6
10세 138.0 138.6
11세 143.5 144.2
12세 150.4 150.3
13세 157.2 154.8
14세 163.8 158.2
15세 169.1 159.9
16세 172.5 160.7
17세 174.3 161.0
18세 174.9 161.2
 

출처: 2017년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질병관리청 기준)


❓ 평균보다 작으면 문제일까요?

꼭 그렇지 않아요!
키가 작아도 성장 곡선이 꾸준하면 정상이랍니다.

  • 3% 미만: 성장지연 가능성 → 정밀검사 필요
  • 3~97%: 대부분 정상범위
  • 97% 이상: 조기성장 가능성도 함께 고려

중요한 건 ‘현재 키’가 아니라 ‘성장 속도’예요!


✍️ 유전적 예상 키 계산법

간단하게 우리 아이의 유전적 잠재 키를 계산해볼 수 있어요

성별 공식
남자아이 (아빠 키 + 엄마 키 + 13) ÷ 2
여자아이 (아빠 키 + 엄마 키 - 13) ÷ 2
 

예시
아빠 175cm, 엄마 160cm일 때

  • 아들 예상 키: (175+160+13) ÷ 2 = 174cm
  • 딸 예상 키: (175+160−13) ÷ 2 = 161cm

이 값은 ‘잠재 키’일 뿐!
영양, 수면, 운동, 스트레스 등 환경 요인이 실 키를 좌우합니다.


🌱 키 성장 루틴 4가지 실천 팁

오늘부터 실천해보세요!

  • 💤 수면 9시간 이상 + 일정한 취침 시간
  • 🍽 단백질·칼슘 위주 식단
  • 🏃 땀 나는 운동 또는 스트레칭
  • 🩺 6개월~1년마다 성장 점검

✅ 마무리하며

“우리 아이 키, 괜찮을까요?”
이 질문의 정답은 **‘아이의 성장속도가 꾸준한가요?’**입니다.

또래보다 작아도 괜찮아요.
아이는 각자의 속도로 자라고 있고,
부모님의 관심과 지지가 가장 큰 영양제입니다.


✨ 익명이맘의 살짝 톡톡

“아이 키를 잴 때마다 숫자에만 집중하지 말고,
‘오늘도 잘 자라고 있구나’라고 말해주세요.
그 말 한마디가 아이의 마음을 더 크게 자라게 해줄 거예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한 번 부탁드려요🤗 >

 

 

반응형